簡易檢索 / 詳目顯示

研究生: 郭怡君
Kuo, Yi-Chun
論文名稱: 針對韓籍初級學習者之臺灣飲食華語教材編寫
A Design of Chinese Textbook for Taiwanese Cuisine and Culture for Elementary Korean Learners
指導教授: 陳麗宇
Chen, Li-Yu
口試委員: 彭妮絲
Peng, Ni-Se
杜昭玫
Tu, Chao-Mei
陳麗宇
Chen, Li-Yu
口試日期: 2021/11/16
學位類別: 碩士
Master
系所名稱: 華語文教學系
Department of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論文出版年: 2021
畢業學年度: 110
語文別: 中文
論文頁數: 195
中文關鍵詞: 專業華語教材初級韓籍成人學習者飲食華語教材設計
英文關鍵詞: CSP materials, elementary Korean adult learners, cuisine and culture
研究方法: 文件分析法內容分析法問卷調查法
DOI URL: http://doi.org/10.6345/NTNU202101855
論文種類: 學術論文
相關次數: 點閱:325下載:106
分享至:
查詢本校圖書館目錄 查詢臺灣博碩士論文知識加值系統 勘誤回報
  • 自2013年起,韓國颳起「哈臺」旋風,許多人選擇來臺旅遊、留學、經商,甚至定居。根據統計,其「消費結構」與「對臺印象」皆與臺灣特色「美食」息息相關;然而,透過文獻回顧與問卷分析,皆顯示出臺灣、大陸和韓國三地「飲食華語教材」的稀缺性與發展潛能,因此本文透過學習者問卷調查、飲食華語相關教材分析,釐清韓籍成人學習者的學習需求、目的與可能感興趣的主題,設計出適合韓籍成人學習者使用的「初級飲食華語教材編寫大綱」。下一步便是遵循該大綱的設計原則與編寫步驟,進行教材範例之編寫,並在編寫完成之際,邀請華語教學界的學者專家施行專家評鑑;為了更加了解本教材對於學習者的適用性,本文再次做了學習者評鑑,不管是專家還是學習者,皆給予本教材極高的評價,這也說明了飲食華語教材開發的三項指標:第一,飲食華語能獨立於其他專業領域。第二,本文所設計之初級飲食華語教材編寫大綱、步驟與主題的蒐集具有實用性與參考價值。第三,以「飲食」為主題的教材具發展潛力,未來還有許多研究與討論的空間。

    Since 2013, lots of South Koreans became “Taiwan maniac.” Many Koreans choose to come to Taiwan to travel, study, do business, or even settle in Taiwan. According to statistics, their “consumption structure” and “impression of Taiwan” are closely related to Taiwan's “cuisine”; however,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analysis, there is a shortage of “textbook on the theme of cuisine” in Taiwan, Mainland China and South Korea. Therefore, this thesis clarifies the learning needs, goals, and topics that may be of interest to Korean adult learners through questionnaires survey and an analysis of culinary textbooks, and then design an “Outline of Elementary Chinese cuisine” that is suitable for Korean adult learners. The next step is to follow the design and compile sample textbooks and, upon completion of the compilation, invite scholars and experts of CSL/CFL to conduct expert evaluati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applicability of this textbook to learners, This article has conducted a learner evaluation again. Whether it is an expert or a learner, the textbook is highly scored. This also shows the three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 on the theme of cuisine: first, the culinary Chinese can be independent of other professional fields. Second, the collection of outlines, process, and themes of the primary Chinese textbook designed in this thesis has a certain practicality and reference value. Third, textbooks with the theme of “cuisine” have a certain potential for development, and there is still much room for research and discussion in the future.

    謝辭 i 摘要 ii Abstract iii 表目錄 vi 圖目錄 viii 第一章 緒論 1 第一節 研究背景 1 一、韓國人訪臺目的與趨勢 1 二、臺、韓飲食華語教材的問題 5 第二節 研究目的與問題 7 第三節 研究範圍與名詞釋義 8 一、研究範圍 8 二、名詞釋義 8 第二章 文獻探討 11 第一節 飲食文化概論 11 一、臺灣飲食文化與禮儀 11 二、韓國飲食文化與禮儀 15 三、臺、韓國飲食文化與禮儀之比較 21 第二節 華語教學中的文化教學 25 一、語言與文化 25 二、華語教學中文化教學的重要性 28 三、華語教學中文化教學的原則 35 第三節 華語教材編寫原則與步驟 45 一、華語教材編寫一般原則 45 二、專業華語教材編寫原則 50 三、華語教材編寫步驟 56 第四節 飲食華語教材概況與研究 61 一、臺灣、大陸飲食華語教材與研究 61 二、韓國飲食華語教材與研究 66 第五節 小結 82 第三章 研究方法 85 第一節 研究方法 85 一、文獻分析法 85 二、內容分析法 85 三、問卷調查法 86 第二節 研究流程 87 第三節 研究對象與工具 88 一、研究對象 88 二、研究工具 90 第四章 研究成果 97 第一節 需求分析 97 一、基本資料分析 97 二、飲食華語相關提問分析 99 三、飲食華語主題選擇 103 第二節 教材分析 105 一、飲食華語教材編寫與分析原則 105 二、臺灣飲食華語相關教材分析 106 三、韓國飲食華語相關教材分析 109 四、臺、韓飲食華語相關教材整理比較 120 第三節 韓籍初級飲食華語教材編寫原則、步驟與架構 124 一、韓籍初級飲食華語教材編寫原則與步驟 124 二、韓籍初級飲食華語教材編寫架構 125 第五章 教材設計範例 129 第一節 教材設計理念 129 一、教材適用對象 129 二、教材目標 129 三、教材內容設計 130 第二節 教材設計範例 134 第三節 華語專家評鑑 156 第四節 韓籍學習者評鑑 163 第六章 結論與建議 168 第一節 研究結論 168 一、飲食主題獨立於其他華語教材之可行性 168 二、初級飲食華語教材應包含之實用性主題 169 三、韓籍初級學習者之飲食華語教材編寫設計與發展原則 169 第二節 研究限制與建議 171 一、研究內容僅針對初級韓籍成人學習者 171 二、學習者評鑑代表性不足 171 三、飲食華語教材發展建議 171 參考文獻 173 附錄一 180 附錄二 191 附錄三 193

    一、中文
    方虹婷(2006)。飲食華語課程教材設計-兼論網上輔助活動建構。臺北市:
    國立臺灣師範大學碩士論文(未出版)。
    方麗娜(2010)。對外華語文化教材的設計與編寫研究--全球教育的視角。
    中原華語學報,6,101-123。
    王梅婷、于善志(2015)。英漢「食物喻人」現象認知對比研究。浙江寧波
    大學外語學院,2015(27),144-146。
    江姿良(2011)。彰化地區觀光華語教材之設計研究。屏東:國立屏東大學
    華語文教學研究所碩士論文(未出版)。
    江書宏(2014)。針對以義大利文為母語者之導遊華語教材編寫-以景點介
    紹為例。臺北市:國立臺灣師範大學碩士論文(未出版)。
    何秋蘭(2008)。對外漢語教學與文化教學。現代語文,8(24),118-119。
    佘國秀(2009)。堅守與通融的趨一—從語言決定論看語言與文化的關係。
    喀什師範學院學報,30(4),52-54。
    呂必松(1993)。對外漢語教學概論(講義、續五)。世界漢語教學,3,206-
    219
    宋占春(2010)。英漢飲食詞彙的隱喻與語義理據。宿州教育學院學報,13
    (1),40-42。
    宋成斌、王志勇(2010)。淺析對外漢語中的文化教學。遼寧行政學院學報,
    12(6),117-118。
    巫宜靜(2013)。從大學校園飲食看華語教材的飲食用語安排。臺灣華語教
    學研究,7,77-108。
    李泉(2006)。對外漢語教材研究。北京:商務印書館。
    李紫菱(2017)。針對韓籍中級華語學習者之專業旅遊華語教材編寫設計之
    研究。桃園:中原大學應用華語文學系碩士論文(未出版)。
    杜道明(2008)。語言與文化關係新論。中國文化研究,4,133-140。
    束定芳、庄智象(1996)。現代外語教學:理論、實踐與方法。上海:上海
    外語教育出版社。
    周智武(2006)。臺灣的開發與飲食文化的變遷。南寧職業技術學院學報,
    11(4),1-4。
    林素娟(2011)。秦漢飲食禮儀及其象徵運用中的自然、身體與倫理觀。漢
    學研究,29(4),35-70。
    林敏、吳勇毅(2006)。對外漢語教材評估:學習者的視角。漢語研究與應
    用,4,218-234。北京:中國社會科學出版社。
    金惠淑(2005)。觀光華語導遊教材設計-針對韓國的專門大學觀光系中國
    語系之用途。臺北市:國立臺灣師範大學碩士論文(未出版)。
    段范芳安(2014)。專業華語文國別化旅遊教材設計研究-以越南觀光導遊
    為例。桃園:中原大學應用華語文研究所碩士論文(未出版)。
    洪慈薇(2018)。IB DP語言B普通課程之飲食文化課程設計。臺北市:國
    立臺灣師範大學碩士論文(未出版)。
    凌娟(2009)。關於對外漢語文化教學的幾點思考。西昌學院學報(社會科
    學版),21(2),110-112。
    袁甲(2008)。中國飲食文化對語言對影響。文學教育,5,54。
    張占一(1984)。漢語個別教學及其教材。語言教學與研究,3,57-67。
    張玉欣(2004)。簡述台灣飲食史。中國飲食文化基金會會訊,10(3),4-9。
    張孟嘉(2018)。以亞洲外籍人士小班教學為對象之華語文觀光旅遊教材編
    寫-以南投地區為例。南投:國立暨南國際大學華語文教學碩士學位學程碩士論文(未出版)。
    郭宗翰(2013)。越南觀光華語導遊教材的設計與發展研究。桃園:中原大
    學應用華語文研究所碩士學位論文(未出版)。
    陳金國(2011)。針對泰籍之中高級華語學習者的觀光華語導遊教學網站設
    計研究。臺北市:國立臺灣師範大學碩士論文(未出版)。
    陳貴凰,劉韻平(2010)。在台外籍學生飲食適應經驗之研究。健康管理學
    刊,8(1), 1-22。
    曾宜萱(2019)。泰籍導遊華語教材設計-以泰國七大城為例。臺北市:國
    立臺灣師範大學碩士論文(未出版)。
    曾品霓(2017)。專業華語教材設計與評鑑發展研究。臺北市:國立臺灣師
    範大學碩士論文(未出版)。
    黃麗蓉(2012)。臺灣夜市小吃華語教材設計及其教學研究。屏東:國立屏
    東教育大學進修暨研究學院碩士論文(未出版)。
    葉至誠(2000)。社會科學概論。新北:揚智文化事業股份有限公司
    葉至誠、葉立誠(2011)。研究方法與論文寫作(3版)。臺北:商鼎文化。
    賈益民(2012)。華文教材教法。暨南:暨南大學出版社。
    趙賢州(1987)。建國以來對外漢語教材研究報告。第二屆國際漢語教學討
    論會,北京。
    趙賢州(1996)。對外漢語教學通論。上海:上海外語教育出版社。
    劉珣(2002)。對外漢語教育學引論。北京:北京語言大學出版社。
    劉淑芬(2009)。對外漢語詞彙教學釋詞過程中文化導入的必要性。現代語
    文,12,129-130。
    劉薇(2006)。淺談語言與文化的關係。楚雄師範學院學報,21(4),40-
    47。
    蔣重母、鄧海霞(2010)。從文化比較入手提高外國學生漢語理解能力。鹽
    城工學院學報(社會科學版),23(3),63-66。
    羅雲豔(2003)。怎樣處理對外漢語教學中文化與語言教學的關係。玉溪師
    範學院學報,19(1),45-45。

    二、韓文
    劉洙連(2019).『중국어I』의 음식 문화란 지도방안- 음식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현아(2017). 중국어 어휘에 나타나는 음식문화 고찰-主食과 副食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35, 197-216.
    백낙천、莫曉蕾(2010). 한⋅중 음식 관련 관용표현의 특징 비교 ―
    한국어교육적 접근을 위하여. 韓國思想과 文化, 53,217-243.
    장취형(2017). 한국어와 중국어 의성어·의태어 비교연구 -음식
    관련 감각어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김희내(2019). 흥미 유발을 위한 도입부 영상 활용방안 :
    『생활중국어』 공통주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윤형우(2018). 음식 관련 어휘를 활용한 중국음식문화 지도방안 :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주로(2020). 한·중 음식명 명명 방식의 대조 연구 : 만화
    『식객』과 다큐멘터리 ‘舌尖上的中國’을 중심으로. 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석사학위 논문.
    초석(2017). 한국어와 중국어의 속담 비교 연구 : 음식관련 속담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유향군(2019). 韓國本土基礎漢語敎材文化因素硏究. 한서대학교
    대학원 한중언어문화학과 박사학위 논문.
    이승정(2002). 飮食 관련 중국어 어휘의 含意 연구 :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주방지(2016). 한·중 음식문화와 어휘 대조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석사학위 논문.
    최재수(2004). 중국음식과 관련된 중국어 어휘 고찰. 한국태국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6-34.
    홍은지(2005). 중국 음식문화와 관련된 언어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김순진(2011). 중국의 음식문화 어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김수철(2018). 2010년 이후 에스닉 푸드를 둘러싼 한국의 음식문화
    분석 일상적 다문화주의의 표상. 문화와 정치, 5(3), 43-76.
    하문정(2010). 중국 유학생의 한국음식 선호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관광경영학전공 석사학위 논문.
    유언동(2012).中國人 學習者를 위한 韓國語의 飮食 慣用語 敎育
    方案 硏究. 앙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전공 석사학위 논문.
    정경조(2018). ‘밥과 빵’ 주식(主食)문화가 낳은 한국과 서양의 문화
    차이. 韓國思想과 文化, 94, 309-335.
    이나래(2016). 한식 상처림의 세계화 구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경애(2004). 『한국의 전통음식』. 전남대학교출판부.
    임길희(2008).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과
    기호도 조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정학(2007). 호텔경영의 이해(4판), 기문사.
    이경원, 조미숙(2010). 한국 음식문화를 기반으로 한 한식
    식사패턴 지수의 개발과 검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5(6), 652-660
    임덕준·임동호(2018). 음양오행에 따른 섭생법의 음식문화
    문헌고찰. 韓國思想과 文化, 93, 281-307.
    李英玉(1994). 中國教育에 있어서 文化教育에 內容과 方法에 관한
    研究.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동빈·남은희(2005). 대학교양영어수업에서 웹기반 문화교육에
    의한 학습효과. 영어어문교육, 11(4), 391-411.
    이승연(2014).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에 대한 다각적 검토:
    교사의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연구. 이중언어학, 55, 219-247.

    한희창·이소현(2019). 중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수목록 구축에 관한
    소고. 중국학, 68, 195-212.
    맹주억(2011). 중국어 교육 중 문화교육의 원칙에 대하여.
    중국언어연구, 34, 231-255.
    박봉순(2015). 중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영화의 활용 연구 (영화
    ‘그 시절 우리가 사랑했던 소녀’를 이용하여). 中國學論叢. 45,
    113-130.
    김정숙(1997).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문화교육 방안.
    교육한글10.
    조항목(2001).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제1차 한국어 교육 학술대회 발표 논문.
    박영순(2006).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론, 한림출판사.
    정우선(2009). 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
    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비교문화연구, 13(2), 379-394.
    권오현(2003). 문화와 외국어 교육-고등학교 독일어교육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28, 1-34.
    장화생(2015). 중국어 교수법 연구, 박이정.
    박경자·장복명(2011). 언어교수학, 박영사.
    정인숙(2019). 한중 현대사회문화의 이해와 중국어문화교육 - 영화
    “심플라이프”를 활용하여. 中國學論叢, 61, 301-321.
    李載勝(1997). 現代漢語 속의 呼稱使用에 관한 小考. 중국어문론집,
    제9집.
    조미연(2007). 중국어교육에서의 문화 활용 방안에 관한 고찰.
    中國語文論譯叢刊, 21, 251-267.
    송지현(2017). 중국어 문화소통능력 제고를 위한 제언 - 호칭과
    인사법을 중심으로. 中國學, 제60집.
    오길용(2002). 중국어교육과 문화교육의 병행에 대한 연구-대학
    교양중국어를 중심으로. 중국언어연구, 15, 461-482
    임재민(2017). 언어와 문화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 중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중국언어연구, 68, 243-264
    박찬욱(2015). 문화 소재 중심의 중국어 회화교재에 대한 일고-
    『說漢語 談文化』의 문제점 분석과 극복방안으로서의 한,일 교재 검토. 比較文化硏究, 40, 133-158
    박찬욱(2018). 문화와 언어에 대한 교육상의 문제의식에 관하여
    -中, 港, 英 중국어 교재 상의 ‘소개’와 ‘이름’의 비교를 중심으로-. 中國語文學, 78, 123-150.
    안원실(2012). 학습자 중심의 일본어 교육. 일본어학연구, 35, 223-
    236.
    박세영(2018). 평생교육기관에서 중국어회화를 배우는 중장년
    학습자의 문화적 역량 탐색. 평생학습사회, 14(4), 111-135.
    홍선경(2010). 상호문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중국 문화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林恩庭(2010). 중국어 학습 흥미도 향상을 위한 문화지도 방안-
    학습자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엽은현(2011). 한국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류문화 교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TeCSOL학과 석사학위 논문.
    엄익상(2009). 한국인용 중국어 교재 편찬을 위한 제안,
    한국중어중문학회, 중어중문학, 44, 513-531.
    김소연(2011). 고등학교 관광중국어 교재개발 방안 연구.
    韓國外國語大學校 : 중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홍정숙(2011). 직장인 대상 중국어 교재개발 : 한국 관광지 소개를
    위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김교시(2013). 여행중국어 회화 교재 개발 : 직장인을 대상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 전공 석사학위 논문.
    김민주(2020). 의료관광 중국어 교재 연구 : 성형·피부·미용 분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안서현(2017). 호텔종사자를 위한 특수목적 중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국제중국어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박경자·장복명(2002). 영어교재론, 박영사.
    최민희(2012). 대학 교양 중국어 교재 개발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권옥란(2015). 초급 군사중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중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三、英文
    B. L. Whorf, John B. Carroll (ed.) (1956). Language, Thought, and Reality:
    Selected Writings of Benjamin Lee Whorf, Cambridge, MA: MIT Press.
    Edward, B. T. (1871). Primitive Culture.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Edward, S. (1985). Selected Writings in Language Culture and Personalit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Elinor O. (1988) Culture and Language Development: Language Acquisition
    and Language Socialization in a Samoan Village, Cambridge:
    CambridgeUniversity Press.
    Hutchinson, T., & Waters, A. (1987). English for Specific Purpose - A learning
    center approach.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Sleeye H. N. (1976) Teaching Culture, Strategies for Foreign LanguageEducator,
    New Yourk: National Textbook Company.
    Swann, J., Deumert A., Lillist, H., & Mesthrie, R. (2004) A Dictionary of
    Sociolinguistics, Tuscaloosa, AL:Th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四、參考教材
    符和南,胡菡,常強(2011)。漢教口語速成•酒店篇。曼谷:曼德琳教
    育出版社。
    陳怡君,Pei-Lin Lee, Iain Findlay Melville(2019)。專業實用餐飲華
    語:職場必備字彙句型與會話。臺北:寂天文化事業股份有限公司。
    한정은 외(2003). 중국어회화4-음식맛있게멋있게, 서울:
    크레지오커뮤니케이션즈.
    이형란 외(2006). 현지에서 바로 써먹는 중국요리 메뉴판. 파주:
    넥서스CHINESE.
    JRC중국어연구소(2018).여행과 음식을 함께 즐기는 맛있는 중국어
    독학 첫걸음. 서울: 맛있는BOOKS.
    이종순·이의선·장미향(2015). 호텔 중국어. 서울: 동양북스
    김정희·유선영·남미향(2018). 호텔 서비스 실무 중국어. 서울:
    시사중국어사
    신승희 외 6명(2018). 고등학교 중국어I. 서울: 천재교과서.
    심형철 외 5명(2017). 고등학교 중국어I. 서울: 시사중국어사.
    이종민 외 5명(2018). 고등학교 중국어I. 서울: 정진출판사.
    최병권 외 6명(2018). 고등학교 중국어I. 서울: 미래엔.
    김성철 외 7명(2018). 고등학교 중국어I. 서울: 다락원.
    유성진 외 6명(2018). 고등학교 중국어I. 서울: 엔이능률.
    이선희 외 4명(2018). 고등학교 중국어I. 서울: 파고다북스.
    임승규 외 4명(2018). 고등학교 중국어I. 서울: 지학사.
    김명화 외 3명(2018). 고등학교 중국어I. 파주: 넥서스.

    五、網路資料
    交通部觀光局統計資料庫(2018)。來臺資料。2021年4月30日。
    取自:https://stat.taiwan.net.tw/。
    交通部觀光局(2018)。觀光業務統計。2021年4月30日。
    取自:https://admin.taiwan.net.tw/BusinessInfo/TouristStatistics

    下載圖示
    QR CODE